억측, 과장, 허위로 점철된 요한계시록 해석의 문제점을 폭로하면서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이신 어린양을 따르는 제자가 되라고 도전하다!요한계시록은 두 도시, 바벨론과 새 예루살렘이 벌이는 전투를 기록하고 있다. 마침내 바벨론은 패배하고 새 예루살렘이 승리할 것이다. 이 놀라운 진실을 믿으려면 상상력이 필요하다. 외딴 섬에 유배된 불온한 1세기 반체제 인사 요한의 입장에서 보면, 강성한 제국 로마가 한낱 식민지인 예루살렘에게 패한다는 건 상상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것이 바로 당대를 향한 요한계시록의 메시지였으며, 오늘 우리 또한 불의한 세상에서 예수님을 신실하게 따를 수 있는 놀라운 비전을 발견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스캇 맥나이트가 되살린 요한계시록의 진정한 메시지,
이 책은 불의한 체제를 거부하는 기독교 제자도 선언이다!“마침내 요한계시록이라는 책의 혼란스러운 아름다움, 그 신비를 이해하게 되었다. 맥나이트와 매칫은 억측과 과장, 허위로 점철된 해석들을 폭로하고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 곧 어린양의 길에 대한 참된 예언을 풀어 준다. 요한계시록 읽기는 불의한 체제에 맞서는 제자들인 하나님의 백성을 집결시키는 나팔 소리다.”
_마이클 고먼, 미로슬라브 볼프, 린 코힉, 베스 앨리슨 바 추천
1972년 겨울, 고등학교 2학년이던 스캇 맥나이트는 개인적인 회심을 경험했다. 그의 삶은 송두리째 바뀌었으며, 기독교 신앙에 열광하는 열혈 고교생으로 새로 태어났다. 그렇게 성경을,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펼치게 된 그는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묵시록, 종말론, 휴거에 관한 책들을 모으고 탐닉했다. 당시에는 70년대의 세계사적, 정치적 사건들이 성경과 어떻게 맞아떨어지는지 억측하는 게 대유행이었다. 세상의 파국이 코앞에 이르렀으니 위를 올려다보지 않으면 결국 버려지고 남겨질 것이며 온 세상이 불타 버릴 것이라는 확신이 넘쳐 났다.
스캇 맥나이트도 이런 어처구니없는 억측을 오랫동안 믿었다. 10대 시절뿐 아니라 심지어 신학을 공부하던 청년 시절과 갓 교수가 되었을 무렵까지 진심으로 믿었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교회가 아직 이 땅에 머물러 있다는 엄연한 사실은 그 많던 설교자와 작가들이 남발하던 예언이 다 허풍이었다는 말이었다. 이를 통해 그는 요한계시록을 제멋대로 해석하면서 난도질하는 현실에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억측에 기반한 요한계시록 읽기는 교회를 병들게 하고 현실 도피를 가르칠 뿐이다. 이런 해석에 경도된 교회는 이 경이로운 책에 집약된 저항 정신을 상실할 것이고, 그리스도의 참된 제자가 되는 일은 수포로 돌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적그리스도와 천년왕국을 두고 억측을 남발하는 책이 아니라면 도대체 요한계시록은 어떤 책인가? 21세기 미국 복음주의는 어쩌다가 그 신학적 기반을 상실했는가? 어쩌다가 그들 자신이 싸워야 할 괴물이 되었는가? 두 저자는 교회, 특히 복음주의 진영을 향해 요한계시록의 진면목을 보여 준다. 요한계시록은 불의한 체제에 대항하는 제자도를 요구한다. 오늘날의 바벨론에 거주하면서도 그것에 저항하는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라고 도전한다.
요한계시록의 예수께서 말씀하신 제자도는 우리 곁에 현존하는 바벨론을 분별하라고, 순응주의자가 아니라 반체제 인사가 되라고 가르친다. 수많은 해석들이 ‘누가’, ‘어디서’, ‘무엇을’ 하는가에만 집착하다 보니 우리는 참된 제자도의 메시지를 놓치고 말았다. 이 책의 목표는 바벨론이 시공을 초월해 존재한다는 통찰력을 가지고 요한계시록 읽는 법을 배우고, 바벨론 한가운데서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충성된 증인이 될 수 있는지 알아가는 것이다. 요한이 대언하는 메시지는 강렬한 빛이 되어, 세상 속에서 은밀히 활동하는 바벨론의 실체를 훤히 드러낸다. 그 과정에서 바벨론에 공모한 교회들의 만행도 드러날 것이다.
미국의 신학적, 목회적, 정치적 흐름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한국 사회와 교회에도 이 책이 전하는 메시지가 긴요하다. 요한계시록은 두 도시, 바벨론과 새 예루살렘이 벌이는 전투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는 용의 수하에서 나와 어린양의 편에 서야 한다. 마침내 바벨론은 패배하고 새 예루살렘이 승리할 것이다. 이 놀라운 진실을 믿으려면 상상력이 필요하다. 외딴 섬에 유배된 불온한 1세기 반체제 인사 요한의 입장에서 보면, 강성한 제국 로마가 한낱 식민지인 예루살렘에게 패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그것이 바로 당대를 향한 요한계시록의 메시지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 또한 불의한 세상에서 어린양 예수를 신실하게 따를 수 있는 놀라운 비전을 발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