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500 → 11,250원
(10.0%↓)
  620
|
|
|
희망 멘토 김해영 선교사가 전하는 두 번째 이야기
희망은 절망 앞에서 가장 빛난다!한밤중이라고 좌절하지 마세요.
오늘 한 날도 아침이 오듯,
우리 인생에도 반드시 아침이 옵니다.오늘도 인생의 밤을 지나는 이들이 많을 거라 생각한다. 어쩌면 ‘나만 왜 이렇게 밤이 긴가?’ 하며 좌절의 저 밑바닥에 착 가라앉아 일어날 힘조차 없는 분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럴 때 기억해야 할 것은, ‘오늘 한 날도 아침이 오듯, 우리 인생에도 반드시 아침이 온다’는 사실이다. 아침이 올 뿐만 아니라, 그 깊은 심연의 밤을 통과한 후 마음과 영혼의 깊이와 넓이와 높이가 확연히 깊어지고 넓어지고 높아진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이 인생의 밤을 통해 주시는 보석 같은 선물이다. 칠흙 같은 어둔 밤이 없었다면 맛볼 수 없는 아침의 환희인 것이다. 그러므로 그 맛을 본 사람들은 어둠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어둠을 짙을수록 더욱 밝게 빛나는 인생의 진주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해영 선교사는 그 누구보다 짙은 어두움을 경험한 인생이다. 딸이라는 이유로 태어난 지 3일 만에 아버지가 내던져 척추장애를 입었고, 그 탓에 평생 134cm의 키로 살아야 했다. 교통사고로 인해 정신 이상을 알게 된 어머니, 다섯 남매를 두고 끝내 자살을 한 아버지. 조금만 앉아 있어도 끊어질 것만 같은 허리 통증을 겪으면서도 가족의 생계를 책임 져야 했던 어린 소녀. 누가 이 소녀의 인생에 아침이 올 것이라고 생각했겠는가?
악으로 깡으로 그래도 살아보겠노라고 애쓰던 삶을 뒤로 하고, 20대 중반에 “너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가라”는 하나님 말씀에 순종해 떠난 아프리카 보츠와나. 사는 것이 죽는 것보다 나아 어쩌면 도망치듯 떠난 그곳에서 맞은 것은 찬란한 아침이 아니라 더 깜깜한 밤이었다.
외로움, 외로움, 외로움
그 외로움과 고통의 광야를 통과하면서 그녀는 마침내 하나님을 속살로 만났다. 멀리만 계셨던 하나님이 함께 살자고 찾아오신 것이다. 황량한 광야에서 영혼의 아침을 맞은 것이다. 그녀는 이렇게 고백한다.
“보츠와나에서의 14년은 반지 위에 올려진 보석처럼 제 인생의 가장 빛나던 때였습니다.”
이 책은 ‘왜 나만 고통당하는가?’, ‘과연 나의 고난이 끝이 있을까?’, ‘나의 인생에도 아침이 올까?’ 하며 좌절해 있는 이들에게 반드시 아침이 온다는 희망과 더불어 고난이 하나님의 사랑임을 깨닫게 할 것이다.
내 마음의 키가 자랄 수 있도록 바람이 지나갑니다.
|
12,000 → 10,800원
(10.0%↓)
  600
|
|
|
‘134cm 결핍을 꿈으로 채워준 하나님의 큰사랑!’이어령(중아일보 고문), 김삼환(명성교회 담임목사), 이재훈(온누리교회 담임목사) 추천!
“나의 아픔 아시는 주님이 134cm의 작은 모습으로 내게 다가오셨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늘 나의 약한 곳에 가 있다.
그 사실을 알고 내 삶은 늘 하나님으로 가슴이 뛴다.
그 사랑이 오늘도 나의 장애를 뛰어 넘는다.장애를 극복하고 세상을 품에 안은
작은 거인 국제사회복지사 김해영!
“스스로 펄럭이는 깃발은 없다.
인생의 세찬 바람,
그것은 우리를 펄럭이게 하는 하나님의 사랑이다.”아들이 아닌 딸이 태어나 재수 없다며 술에 취한 아버지에 의해
태어난 지 3일 만에 던져져 평생 척추장애인으로 살아야했던 그녀.
월급 3만 원의 입주가사도우미에서
세계장애인기능대회 금메달을 따기까지
그녀의 삶에 결핍과 고통은 하나님을 만난 후 인생을 살아갈 원동력이 되었다.
국제사회복지사로 아프리카 빈민들을 돌보며 삶의 기쁨을 누리는 그녀를 통해
우리의 삶에 희망으로 다가오신 예수님을 만나자!
▒ 프롤로그 성령의 바람으로 나는 자유롭게 펄럭인다
“우리 아들, 어령이를 키우면서 쓴 책입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나와 함께 토크 쇼를 하게 된 김어령 씨의 어머니가
나에게 다가와서 책 한 권을 주었다.
당시에 김어령 씨는 세종대학교 음악대학원
첼로 석사과정 졸업반에 있는 28세의 첼리스트였다.
연습 중에 들려오는 은은한 첼로 소리를
한 귀로 들으면서 책의 목차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어머니에게는 어령이가 바람이었군요.”
책을 내려놓으면서 말했다.
그리고 하나의 이야기를 해 주었다.
“어머니, 제가 조금 전에 택시를 타고 오는데,
차가 잠시 멈춘 사이에 허공에 펄럭이는 태극기를 보았어요.
태극기가 펄럭이려면 바람이 있어야 하잖아요.
그것을 보고 아주 크게 깨달았어요. 인생의 바람이랄까요.
어머니가 이렇게 치열하게 펄럭이도록 해 준 바람이
바로 어령이가 아닐까 합니다.”
“어머, 참 시적으로 표현하네요. 고맙습니다.”
어령 씨의 어머니가 답했다.
어령 씨는 어려서 뇌 수술을 했다고 한다.
그 후유증으로 지능이 12세 정도에 머문 뇌 장애인이다.
외적으로는 신체 건장한 남자이지만,
어령 씨의 행동은 초등학생 남자아이처럼 순진하고 장난스럽다.
이 아들과 함께 만들어 온 이야기는 오랜 세월
인내와 투쟁과 눈물과 아픔을 견뎌 낸 기록이었다.
그녀는 어령이라는 바람으로 인해 늘 펄럭이고 있었다.
어령 씨는 어머니라는 바람으로 쓰러지지 않고 자기 빛을 찾아가고 있었다.
두 사람은 서로가 멈추지 않도록, 힘껏 살아갈 수 있도록 바람이 되어 주는 존재였다.
사람마다 바람이 있다.
사람마다 인생의 바람 앞에서 펄럭이고 있다.
인생을 펄럭이게 하는 그 바람은 무엇인가 내 인생의 바람은 키 134cm다.
척추 장애, 가난, 어머니의 정신병력, 아버지의 자살, 초졸 학력은
모두 내 인생 앞에 불어온 세찬 바람이었다.
나는 하마터면 사람으로 난 기쁨을 알기도 전에, 그 바람들에 뜯겨 나갈 뻔했다.
이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생각만 해도 가슴이 저려 온다.
내 인생에 일어난 그 다행스러운 일.
이 세찬 세상 바람 앞에 서 있는 나를 하나님께서 만나 주셨다.
예수님이 친구가 되어 주셨다. 큰 바람막이가 되어 주셨다.
세상의 거칠고 치열한 바람이 부드러운 바람으로 바뀌었다.
세월이 지나면서 그 바람은 성령의 바람으로 바뀌었다.
나로 하여금 가장 자연스럽게 펄럭이도록 했다.
나는 더 이상, 이 세상 바람 때문에 상처 받지 않는다.
더 이상 이 세상 바람이 나를 흩날리도록 하지 않는다.
나는 지금 이 세상에서 가장 자유롭게 휘날리고 있다.
134cm의 내 작은 키가 성령의 바람으로 가장 나답게 펄럭이고 있다.
나는 하나님으로 가슴이 펄럭이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 독자의 needs - 불우한 가정환경과 장애를 극복하고 국제사회복지사로 살고 있는 저자의 삶을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크리스천으로서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세워가는 데 도움을 준다.
- 하나님이 주신 꿈과 비전을 어떻게 세우고 이뤄가는지 롤모델이 된다.
-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삶을 통해 실천하는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