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0 → 18,000원
(10.0%↓)
 
|
|
|
고흐 작품 100여 점 그리고 저자의 현장 취재 사진 60여 점의 풍부한 자료
비운의 천재작가라는 반 고흐의 신화 깨기
광기 어린 예술가가 아닌, 하늘의 소명을 따라 살았던 화가 반 고흐반 고흐의 예술을 영성의 빛으로 추적한 책
일상의 거룩함을 캔버스에 담은,
누구보다 약한 자를 가슴에 품은, 상처받은 치유자 미술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누구나 한번 쯤 빈센트 반 고흐가 그린 <밤의 테라스>나 <해바라기>, <별이 빛나는 밤> <자화상>을 보았을 것이다. 그렇게 잘 알려진 화가, 반 고흐에 대한 많은 글과 책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배가가 되고 점차로 성인전(聖人傳) 형식으로 발전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반 고흐 신드롬을 만들었다. 이런 신화는 반 고흐가 그림을 통해서 추구하던 것이 무엇인가를 보여 주는 데 장애가 된 게 사실이다.
그동안 반 고흐에 대한 다양한 책이 출간되었지만 그의 삶과 예술을 소명이라는 관점에서 다룬 책은 거의 없었다. 이 책의 저자 라영환은 지난 몇 년간 반 고흐의 편지를 읽고 그의 발자취를 따라 네덜란드, 영국, 벨기에 그리고 프랑스 등을 여행하면서 반 고흐가 되어 그를 바라보려고 했다. 그리고 신화에 가려진 반 고흐가 아닌 소명을 따라 살았던 화가 반 고흐를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비운의 천재작가’라는 반 고흐의 ‘신화 깨기’다. 저자는 고흐의 죽음을 둘러싼 문제들 및 아버지나 고갱과의 관계 등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평가되는 인간관계를 찬찬히 짚어가면서, 반 고흐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집요하게 풀어낸다. 그럼으로써 ‘비운의 천재작가’라는 편견을 지우고 반 고흐의 따뜻하고 배려심 깊은 인간성에 주목한다.
한때 성직자가 되기를 갈망한 고흐에게 그림은 그가 성직자의 길을 가지 못하게 된 후, 실패에서 발견한 소명이었다. 그는 소외된 사람들에게 위로가 되는 그림을 그리고 싶었다. 긍휼의 마음으로 사회적 약자들에게 다가가 예술을 통해 그들을 치유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흐는 신앙을 교회 건물 안에만 가두지 않았다. 고흐는 ‘밭에서 일하는 농부의 옷차림’에서 ‘주일에 정장을 차려입고 교회에 갈 때보다 더 아름다운’ 모습을 발견했다.
그런 의미에서 반 고흐의 작품은 우리에게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서,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이루어 가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우리에게 소명을 따라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이라고, 최선을 다하는 삶은 실패하지 않는다고, 매일 내가 하는 일이 소중한 것이라고 말한다.
[출판사 서평]일상 속에서 거룩을 담고자 했던 고흐의 종교적 소명과 영성
반 고흐 삶의 여정과 작품 세계를 현장감 있게 풀어낸 책반 고흐의 그림을 좋아한다는 많은 사람에게마저 반 고흐는 스스로 귀를 자르고 자살한 불운했던 예술가로 각인되어 있다. 시대를 넘어 이러한 통념을 뒤집어 소명을 따라 살았던 고흐를 재조명하는 일은 생명을 살리는 일만큼이나 중요하고 힘든 일이다.
저자는 독자들이 광기 어린 예술가가 아닌 하늘의 소명을 따라 살았던 화가 반 고흐를 발견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 여러 해 동안 고흐의 발자취를 따라 현지를 찾아가고, 고흐의 편지와 그림들을 수없이 비교하며 당시 시대사와 관련된 미술사 자료들을 제시하면서, 저자는 세상이 그간 오해하던 ‘해석의 난점’들을 풀어준다. 저자는 때로는 미술사학자나 심리학자처럼, 때로는 형사처럼 반 고흐의 삶과 예술을 다각도로 분석하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반 고흐의 신화를 깬다.
현장답사와 학술적 리서치를 적절하게 연계해서 반 고흐 삶의 여정과 작품세계를 현장감 있게 풀어낸 이 책은 반 고흐의 예술세계에 대한 쉽고도 친절한 안내서다. 또한 ‘슬픈 것 같지만 기뻐하는 삶’을 추구하고 그런 삶을 살았던 빈센트를 소개하면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지 생각하게 해준다.
반 고흐에 대한 통념에 대한 날카로운 반론으로 시작된 책의 시작은 어느덧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치유와 노동하는 사람들을 주요 소재로 삼아, 일상 속에서 거룩을 담고자 했던 고흐의 종교적 소명과 영성, 그리고 그에 따른 열정과 열심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한 손에는 성경을, 다른 한 손에는 붓을 들고’ 살았던, 기독교 세계관으로 자신만의 색깔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했던 예술가로 말이다.
선(善)은 거창하지 않은 작은 섬김에 의해서 세상에 확장된다. 반 고흐에게 작은 섬김은 그림이었다. 가난하고 슬프게 살았지만 사랑하는 마음과 아름다운 생각을 잃지 않으려 애쓰며 살았던 반 고흐, 그의 그림이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이유다.
|
17,000 → 15,300원
(10.0%↓)
   850
|
|
|
이제 제 눈에는 상처 입은 이들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합니다. 전혀 내색하지 않지만 가면 갈수록 내밀한 곳에 생채기가 나는 것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렇다고 고통 받는 이들에 대해 조금이라고 더 나은 반응을 보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변화된 것이 있다면 그 고통을 계속해서 들여다보고 그 깊이에까지 이르고자 하는 용기가 생겼다고나 할까요? 고통에 대해 섣부르게 칼을 들이대기보다는 고통을 같이 나누려는 마음이 이 시대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입니다. 그동안 나누었던 고흐의 삶처럼 아무리 부족하고 어설퍼 보여도 삶의 진실을 향해 다가가기를 원합니다. 또 다시 불쑥 다가서는 고통이 낯선 얼굴을 한 우리의 이웃임을 알아야겠습니다.
- 책을 내면서 중 -
|
20,000 → 18,000원
(10.0%↓)
   1,000
|
|
|
거룩한 실재가 없는 신앙인을 향해 던지는 치유 묵상
실패와 좌절, 고난을 통해 흘러나오는 근원적 힘,
상처입은 고흐의 영원에 대한 갈망과 자기고백…
고흐의 그림이 영원의 끝자락에 닿을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낭만적 이미지에 자신을 맞추려 했기 때문이 아니라 신앙이 주는 위안을 깊이 열망했기 때문이다. 그는 정말 뜨거운 신앙으로 살았다.
그는 철저한 기독교인이었고 그 신앙은 죽을 때까지 성장했다. 그는목사였던 아버지를 비롯한 여러 기독교인과 제도 교회 안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무식과 심한 위선을 보았고, 그들의 이중성에 치를 떨었다. 그의 아름다운 수많은 그림과 스스로 가난한 자로 살기 원했던 사람 화가 반 고흐 만큼 책을 읽고 고난의 삶을 산 사람이 또 어디 있을까? 그만큼 상상력, 창조력, 독립성이 강한 사람이 또 어디 있을까?
반 고흐는 참으로 열렬하게 하나님을 찾았다. 영원하신 하나님을 끊임없이 갈망했다는 점에서 그는 모든 사람의 모범이다. 그는 자기 고백을 통해 새로운 길을 찾아냈다. 이로써 그는 그 모든 실패와 좌절 속에서 <상처 입은 치유자>가 될 수 있었다. 고난을 통해 흘러나오는 그의 근원적인 힘도 이로써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