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에는 150편의 시가 담겨있지만, 구약 성경에서 시는 시편에만 아니라, 여기저기에 산재해 있다. 더구나 선지서나 성문서의 많은 부분이 히브리시의 가장 현저한 특징인 병행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약 3분지 1이상이 시적인 형식으로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편에 대한 바른 이해는 구약 전체의 문학 양식을 이해하는 열쇠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떤 이는 창세기와 시편, 이사야서를 잘 알면 구약 전체를 잘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의미에서 시편 주석의 의의는 심대하다 아니할 수 없고, 한국 복음주의 신학회에서 시리즈로 엮고 있는 성경 주석 시리즈의 시편을 맡게 된 필자는 무거운 부담감을 지울 수가 없었다. 이러한 마음의 짐을 이제 약간 덜게 되니 감당할 힘을 주신 주님께 감사하기도 하지만, 이것이 완성품이 아니라는 점은 익히 아는 바이다.
본 시편 주석은 세 부분으로 크게 구성되었는데, '본문 주석'에 들어가기 전에, 시편을 전체로서 조망하는 부분이 '서론'부분에 해당하고, 이 서론 부분에서 히브리 시의 연구 역사, 시에 얼핏 보기에 어떤 원리가 없이 사용되는 듯 보이는 동사 시제들의 용례, 시편의 작시(作詩)와 그것들의 수집, 그리고 그것들의 배열, 개개 시편의 표제들, 시편에 등장하는 전문 용어들, 구약 시편들을 어떻게 설교할지의 문제, 시편을 예배에서 어떻게 활용할지의 문제, 시편의 해석 역사, 시편의 해석 방법론, 시편이 제 2 성전(스룹바벨 성전)예배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성경 시편과 쿰란 시편 사본들 간의 관계, 시편과 한국시들의 간략한 비교, 히브리시의 형식(병행법, 운율, 이미저리, 메타퍼, 인클루지오 등등), 시편들을 주제나 형식별로 분류하는 방식, 시편의 신학 사상(하나님, 원수, 가난한 자, 감사제사, 다윗의 고난, 메시아 사상 및 종말론, 창조사상, 언약, 일반은총, 서원, 신약의 시편해석 등), 히브리시 해석의 실제 (시2편 [In Textuality, Inner-Textuality, Inter Textuality, 연구성 등])등을 다루어 시편이나 히브리 시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저자 서문 중에서...